광주전남연구원 통합 의미와 방향
상태바
광주전남연구원 통합 의미와 방향
  • 오영수 기자
  • 승인 2015.04.29 14: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반기 출범…상생의제 첫 결실
8년 만에 연구원 통합작업 급물살

▲ 27일 윤장현 광주시장과 이낙연 전남지사가 지난해 8월 한 방송사 특집 프로그램에 출연해 광주·전남발전연구원 통합 가능성을 제기한지 9개월여 만인 이날 연구원 소재지가 나주혁신도시로 결정됐다. 사진은 나주시가 연구원 신청사 부지로 무상 제공키로 한 나주혁신도시 내 '복합문화체육센터' 부지. 나주시는 해당 부지 전체 면적 9086㎡(2748평) 중 일부인 4958㎡(1500평)을 연구원 건립 부지로 제공할 예정이다.
민선 6기 윤장현 광주시장과 이낙연 전남지사가 역점적으로 추진해 왔던 광주전남연구원 통합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광주시의회와 전남도의회가 지난 3개월여 동안 심사를 보류했던 '광주전남연구원 설립 및 운영조례'를 28일 의결함에 따라 본격적인 통합작업에 시동을 걸었다.

지난 2007년 광주와 전남 발전연구원으로 분리된 이후 8년 만이다.

특히 광주전남연구원 통합은 광주시와 전남도의 18개 상생발전 의제 가운데 첫번째 결실을 맺은 것으로, 향후 시·도간 상생발전 프로젝트가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통합작업 어떻게

광주시의회와 전남도의회가 그동안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광주전남연구원 설립 및 운영조례'를 의결함에 따라 광주시와 전남도는 곧바로 연구원 통합 준비체제로 전환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시·도 실무자, 양 발전연구원 관계자들로 통합준비실무회의를 구성해 법인 해산과 설립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실무회의는 내부규정과 조직 운용 방향 등을 세부적으로 조율한뒤 기존 법인 해산과 함께 법인 신설작업을 예정하고 있다.

이어 설립총회와 정관 마련, 이사진 구성에 이어 행정자치부에 광주전남연구원 설립 신청서를 제출하고 승인이 날 경우 설립등기와 원장선임 절차를 밟기로 했다.

이같은 절차를 감안하면 빨라야 하반기 중 출범할 것으로 전망된다.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에 들어설 연구원 청사 건립 공사도 같은 시기쯤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전남도 관계자는 "이미 통합방침이 확정된만큼 서두르지 않고 꼼꼼히 규정과 절차 등을 밟아갈 것이다"며 "새로운 연구원은 광주·전남의 상생의 의미를 담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날 의결된 조례안에 따라 통합 연구원의 선임직 이사는 시·도가 같은 수로 추천하며 이사회 의결을 거쳐 시장·도지사가 임명한다. 이사장은 이사 중에서 정관으로 정해 선임할 예정이다.

원장은 공개모집을 통해 후보자 추천위원회가 추천하고 이사회 의결을 거쳐 이사장이 임명한다.

연구원 행정사무감사는 매년 시·도의회가 공동으로 실시하고 연구과제와 연구원 운영 등의 협의를 위해 시·도 공동협의체를 구성할 방침이다.

통합 연구원의 기금은 두 연구원의 기존 기금 차이를 인정해 통합 기금으로 조성하고 이후 기금 출연과 운영은 동등하게 부담하기로 했다.

현재 광주발전연구원의 기금은 82억600만원으로 광주시가 51억원, 자치구 4억8000만원, 금융기관·상공인·자체적립금이 26억2600만원이다.

기구는 5실 1센터 1진흥원 1단으로, 정원 28명에 현재 인원 20명이다

전남발전연구원의 기금은 163억7200만원으로 도 본청 28억원, 시·군 79억6000만원, 금융기관·상공인·자체적립금 56억1200원 등이다.

기구는 4실 3센터 1진흥원이며 정원 26명에 현재 인원 24명이다.

◇의미와 과제

광주·전남연구원 통합은 민선 6기 광주시와 전남도가 상생발전 의제 중의 하나로 추진해 왔다는 점에서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무엇보다 광주·전남 광역권의 비전과 발전전략을 제시하고 지역개발과 관련해 중앙정부에 공동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보인다.

또 시·도 간에 이해관계가 발생할 경우 합리적인 중재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연구원의 질적 수준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보다 경쟁력 있는 지역종합 연구기관으로 탈바꿈할 것이라는 게 광주시와 전남도의 설명이다.

뿐만 아니라 연구원 통합은 윤장현 광주시장과 이낙연 전남지사가 합의한 18개 상생발전 의제 가운데 첫번째로 결실을 맺은 것이어서 향후 상생 프로젝트에도 순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연구원 소재지 문제 등으로 막판까지 진통을 겪다가, 윤 시장과 이 지사가 극적 합의를 이끌어냈다는 점이 주목된다. 그만큼 상생발전에 대한 양 단체장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광주시와 전남도가 앞으로 풀어가야 할 상생발전 의제는 무안공항 활성화와 2015광주U대회 성공개최 협력,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연계한 문화관광 활성화, 빛가람 공동혁신도시 활성화, 제2남도학숙 건립, 광주순환도로(제3순환선) 건설, 남도방문의 해 추진, 광주·전남 상생발전정책 수립 등 산적해 있다.

또 한빛원전 안전성 확보와 에너지밸리 추진, 호남권 한국학 연구기관 설립, 광주전남 해외 자매도시 교류방문 등도 포함돼 있다.

아직까지는 풀어야 할 과제들이 많다. 광주전남상생발전위원회가 구성돼 본격 가동되고 있지만 제도적 정비나 기구, 재정마련 방안 등 구체적인 협의까지는 갈 길이 멀다.

또 통합연구원 자체도 지도감독의 책임소재가 불분명하고 조직이 방만하게 운영될 수 있다는 지적들이 제기되고 있다.

더구나 시·도 간에 핵심과제와 미래발전 전략이 다를 수 밖에 없어 이를 조율하는 것도 통합연구원의 과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