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찰비리에 놀아난 한전 '사후약방문' 통할까
상태바
입찰비리에 놀아난 한전 '사후약방문' 통할까
  • 홍일기 기자
  • 승인 2015.05.22 14: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년간 2천700억원 규모 입찰 비리에도 '깜깜'
불법 업체 계약 취소·입찰 제한…일부 후유증도 예상

10년간, 133건, 공사 총액 2천700억원대에 걸쳐 이뤄진 한전 전기공사 입찰비리는 전국 네트워크까지 구축한 브로커와 업자들에게 놀아난 결과였다.

한전은 국민의 생활안전과 직결된 전기공사와 관련한 입찰, 계약, 관리 과정에서 총체적인 허점을 드러냈다.

한전 전산입찰시스템은 KDN이 위탁받아 운영하며 이를 다시 위탁받은 회사의 전문직원이 관리했다.

전자입찰시스템 서버는 투찰 마감 하루 전 오후 4시께 기초금액의 ±2.5% 범위에서 생성한 1천365개 예비가격 중 15개를 임의로 선택해 암호화하고 15개 추첨번호에 하나씩 배정한다.

입찰자는 이 중 4개의 번호를 선택하고 금액을 입력하면 그 값이 서버에 저장된다.

입찰자가 가장 많이 선택한 상위 4개 번호에 배정된 가격을 평균해 투찰률(10억원 미만 87.745%, 10억원 이상 86.745%)을 곱한 낙찰하한가가 정해진다.

그러나 복잡한 과정은 무용지물이었다. 외부 인터넷망에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돼 추첨번호와 낙찰하한가가 유통됐다.

이는 전국적 네트워크를 갖춘 브로커들을 통해 광주·전남·인천·대구·경기·충남 등 업자에게 팔려나갔고, 하한가를 살짝 웃도는 가격을 써내 공사를 따낸 업자 다수는 공사금액의 20~30%를 챙긴 뒤 공사를 하도급했다.

공사 원가 중 20~30%는 입찰조작책, 브로커, 불법 하도급업자가 뒤로 빼돌리고 하도급 업체가 10%가량 이윤을 챙긴 사실까지 고려하면 실제 공사는 60~70%의 비용으로 이뤄진 셈이다.

한전 전기공사는 입찰경쟁률이 5천763대 1에 이를 만큼 인기가 높다.

특정 공구 공사를 낙찰받으면 2년간 공구에서 발생하는 공사를 모두 할 수 있게 돼 안정적인 수입이 보장된다.

더욱이 안전과 직결되는 공사인 만큼 전문 업체에 의해 적정 비용으로 시공돼야 한다.

이처럼 엄격하게 입찰이 이뤄져야 할 당위에도 최종 관리 책임이 있는 한전의 대응은 허술하기 짝이 없었다.

시스템 관리 부실은 차치하고라도 '낙타가 바늘구멍 통과하기'에 비유될 만큼 확률이 낮은 낙찰을 30건이나 받은 업자가 있는데도 한전은 불법을 알아차리지 못했다.

김희준 광주지검 차장검사는 26명을 기소하고 1명을 수배하는 등 수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이 사건은 한전 입찰·계약·공사관리 시스템의 허점을 파고든 내부자(KDN 파견업체 직원)의 도덕적 해이와 브로커, 업자의 결탁이 맞물려 발생했다"고 규정했다.

한전은 뒤늦게 현재 진행 중인 공사 계약 45건을 취소하고 입찰 참가자격도 제한했다.

그러나 이미 계약이 끝난 불법 업자들에 대한 재산상 책임을 물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계약 취소, 기존 불법 입찰로 탈락한 후순위 업자들의 권리 주장 등에 따른 법적 공방도 예상된다.

한전 관계자는 이에 대해 "한전과 KDN 직원이 연루되지는 않았지만, 전산입찰 시스템을 운영하는 데 있어 관리 책임을 통감한다"며 "자체감사를 통해 관리책임자와 담당자를 엄중 문책하고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는 등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한전은 내년부터 한전에서 전산입찰 시스템을 직접 관리하는 등 개선방안을 마련했으며 피해 부분에 대한 손해배상 조치도 별도로 추진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