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의 明과 暗…각급 지자체 사후평가 강화
상태바
축제의 明과 暗…각급 지자체 사후평가 강화
  • 강금단 기자
  • 승인 2015.07.17 11: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광주지역 청소년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엿볼 수 있었던 ‘2014 광주청소년상상페스티벌’이 1일 오 후 광주 동구 금남로 옛 전남도청 앞에서 열렸다.
전국 각급 지자체가 앞다퉈 우후죽순으로 축제를 여는 것은 지명도를 높일 수 있고 그만큼 부가가치가 크기 때문이다.

창조경제연구실 이수진 연구위원이 작성한 '지역살리기와 축제'에 관한 연구 자료를 보면 국내 축제산업의 지출 규모는 2012년 3조4826억원으로 영화산업 전체 매출과 비슷한 규모다.

2011년 고용노동부의 조사 결과 국내 축제 예산 지출에 따른 일자리 창출효과는 3만6300명으로 예산 10억원당 283명의 고용효과를 냈다.

4대강사업 예산 10억원으로 12.3명의 고용효과를 낸 것과 비교하면 엄청난 차이다.

이 연구위원은 축제가 열리는 지역에서 사회·문화적 효과, 경제적 효과, 관광 효과 등 다양한 측면의 영향을 낸 것으로 분석했다.

축제는 창조산업으로 문화를 형성하고 선도하는 소통의 장으로도 평가받는다.

그래서 영국 문화미디어체육부(DCMS)는 축제를 창조산업의 하나로 분류해 놓고 있다.

국내 축제는 1995년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증가하기 시작해 2000년대 폭발적으로 늘었다가 2013년 조정기로 접어들었다.

2012년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문화예술형 축제가 전체의 32.7%로 가장 많고, 지역 특산물 축제 24.8%, 전통 역사·문화축제 18.6%, 생태자원축제 9.0% 순이다.

예산에서는 1억원 미만 축제가 전체의 40.5%에 달하고 1억~2억원 축제 17.4%, 2억~3억원 축제 10.0% 등 축제 1개당 평균 예산이 2억9000만원 소요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부가가치가 높지만 지방마다 제각각 열리는 축제에는 분명 한계와 문제점이 있다.

이 연구위원은 "공공 주도의 축제 개발로 지역 문화에 대한 관심을 촉발하는 계기가 됐지만 양적 증가에 비해 질적 성장은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문화관광체육부 지정 축제는 예산의 85.2%가 지원금에 의존하고 있고 정부 지원금을 제외한 나머지는 후원금 6.3%, 자체수익 5.9% 등에 불과해 축제의 재정자립도가 낮은 편이다.

지역문화가 뿌리 내릴 수 있는 사회·문화적 토대가 마련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지자체 마다 앞다퉈 유사한 축제를 마구 연 것이 원인으로 지적된다.

최근 각급 지자체들이 축제 수를 줄이고, 유사한 축제를 합치고, 성과가 적은 축제를 없애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대구경북연구원 사회문화실 오동욱 연구위원은 근대문화축제, 동성로축제, 컬러풀축제 등 대구의 5개 봄 시즌 축제를 컬러풀페스티벌로 통합, 개최한데 대해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가 있다"며 "그러나 행정기관이나 시민이 볼 때는 축제를 하나로 묶어 다양하게 보여준다고 기대했지만, 공급 주최들이 자기 것 위주로 하다보니까 프로그램 중복 등의 부작용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오 위원은 또 "기획력에서도 시간대별, 주제별 등 독창적인 것이 없어 결국 주최 간에 소통이 덜 된 부분이 나타났다"며 "축제 공급자 끼리 공동 마케팅을 통해 비용을 줄이고, 겹치는 프로그램이 없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구 북구지역의 15개 축제를 함지산 해맞이 축제, 금호강 정월대보름 민속한마당, 구민화합축제, 찾아가는 작은 음악회 등 4개로 통·폐합을 추진 중인 배광식 북구청장은 "비슷한 프로그램과 시기, 장소 등의 부작용을 없애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구청의 예산 지원이 중단되는데 대해 불만을 갖고 있는 일부 자생단체와 기관 등의 의견 보다는 북구의 자랑과 대표가 될 수 있는 축제를 만드는 일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지자체들이 축제를 통·폐합하는데 그치지 않고 사후평가를 강화하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광주 페스티벌' 기간인 5월과 10월 집중해 여는 축제를 분석·평가하는 시스템을 강화하기로 했으며, 대전시는 축제 예산 일몰제를 도입해 축제 개최에서부터 평가, 예산 조정·반영 등에 이르는 과정을 면밀히 분석할 계획이다.

전북도는 축제 남발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해마다 축제를 평가해 우수 축제를 선정, 예산을 차등 지원하고 있으며 제주도도 축제육성위원회를 구성해 대표·최우수·우수·유망 축제에 따라 인센티브를 주고 있다.

김기현 울산시장은 취임 이후부터 "인원을 동원해 개최하는 축제는 의미가 없다. 특성화와 다양성을 통한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중요하다"며 "축제나 행사 개최 후에는 반드시 종합적인 평가와 분석을 통해 발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