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5대 군시설 이전…“어떻게 되나”
상태바
광주 5대 군시설 이전…“어떻게 되나”
  • 오영수 기자
  • 승인 2016.03.08 1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등산 방공포대·군공항은 계획대로 순조
포사격장, 탄약부지, 31사단은 제자리걸음

▲ 광주 31사단 전경.

국립공원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이 이달 중 발주될 계획인 가운데 지역내 주요 군(軍) 시설 이전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광주시 현안인 5대 군 시설 이전사업은 무등산 방공포대 말고도 광주 군 공항, 평동 포 사격장, 31사단, 마륵동 공군 탄약고 부지 등이다.

방공포대와 군 공항 이전사업은 로드맵을 밟아가고 있지만 포사격장, 탄약부지, 31사단 이전 사업 등은 제자리걸음이다.

이들 시설 면적은 군 공항 831만㎡를 비롯해 31사단 174만㎡, 포 사격장 246만㎡, 탄약고 37만㎡(주변부지 180만㎡), 방공포대 11만㎡ 등 무려 1천480만㎡에 달한다.

길게는 65년(광주 군 공항, 평동 포 사격장)부터 40년(마륵동 탄약고)까지 군 시설로 묶인 상태다.

광주시 등에 따르면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 사업은 이달 중 국방부가 15억원을 들여 기본계획 용역을 발주한다.

올 연말까지 후보지가 선정되면 이전사업은 일사천리도 진행될 예정이다.

하지만 새 방공포대 이전 후보지 주민들의 반발을 얼마나 잠재울 수 있을지와 광주 군 공항 이전과 맞물려 추진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 사업속도의 큰 변수다.

지난해 말 국방부, 광주시,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이전 협약을 한 뒤 급물살을 탔다.

사업비는 국방부가, 정상의 생태계 복원은 국립공원관리공단이 맡는다.

광주 군 공항 이전 사업은 국방부에 이전 건의서가 접수된 상태며 상반기 내에 타당성 평가가 나올 전망이다.

최소 5조∼6조로 추정되는 재원 마련 방안 등을 검토해 이전의 타당성이 있는지 평가하게 된다.

자동차 100만대 생산기지 조성을 위한 예비타당성 평가와 유사하다.

이 과정을 통과해도 대체후보지 선정이 지자체의 반발에 막히면 이전 사업은 한 발짝도 나가지 못할 우려도 있다.

광주시는 이전한 공항부지를 서남권 중추적 신도시(솔마루시티), 즉 호남권 비즈니스 허브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광주 북구 오치동과 삼각동 일원에 자리 잡은 보병 31사단 이전은 민선6기 들어 완전히 중단된 상태다.

민선 5기 강운태 시장 시설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시 외곽 이전 등이 논의됐으나 윤장현 시장 취임 이후 "군부대 시설을 혐오시설로 보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언급 이후 이전 논의에서 아예 제외됐다.

광주 서구 마륵동 공군 탄약고 부지는 2017년 말 군 공항 부대 안으로 증설·이전할 계획이었으나 이주민 대책이 진전이 없어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광주시는 이전한 탄약고 부지는 공영개발 방식으로, 주변 시설은 개발 뒤 원주민에게 되돌려 주는 토지구획정리 방식으로 개발하기로 했었다.

광주 광산구 평동 포 사격장은 수년째 진전이 없다.

국방부 훈령 개정으로 지자체와 협의 과정이 다소 완화됐지만 해당 장성군의 완강한 반대에 부딪혀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장성군은 논의 자체를 거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시는 포 사격장은 장성군 황룡면 일대로 이전하고 이전부지에는 자동차 산업 밸리 등 지역산업 허브로 개발할 계획이었다.

광주시 관계자는 "무등산 방공포대 등 일부 군 시설은 이전이 계획대로 추진되지만 상당수 사업은 애로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