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칼럼〉 초등학교는 자치 능력 향상의 출발점
상태바
〈교육칼럼〉 초등학교는 자치 능력 향상의 출발점
  • 광주데일리뉴스
  • 승인 2016.11.27 16: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학생회 선거

◇ 선생님은 퍼실리테이터(촉진하는 사람)

 필자가 근무하는 학교에서는 한 달에 한두 번 정도 전교생 자치 활동 모임인 다모임 시간을 가졌다. 우리 1학년도 사전에 안건과 건의 사항을 학급 자치 활동을 거쳐서 제출하였다. 이제는 제법 새로운 의견을 내놓을 줄도 알고 당당하게 건의 사항도 써서 발표할 줄 알게 되었다.

 이렇게 되기까지는 학급의 중요한 일에 대하여 아이들의 의견을 존중해 주고 관심 있게 들어주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했다. 예를 들면 아이들의 관심이 지대한 짝을 정하는 사소한 것부터 아이들이 의견을 말하고 그 이유를 제시한 다음, 친구들의 지지를 받는 의견을 정하는 피라미드 토의 방식을 거쳐서 결정하게 하고 있다. 

 담임인 나는 퍼실리테이터(촉진자) 역할을 충실히 하면 된다. 아이들의 의견을 써 주고 그 이유를 듣게 하도록 경청하는 자세를 가르쳤다. 그리고 누구의 의견이 더 타당하고 합리적인지 생각하게 하는 발문을 던져 주어야 한다. 이때 어려운 점은 기다려주는 일이다. 담임이 보기엔 그 방법이 금방 보이는 것을 아이들은 터덕거리며 찾아낸다. 마치 세 살 꼬마가 스스로 밥숟가락을 들고 밥을 먹으며 밥알을 다 흘리더라도 먹여주지 않아야 한다. 수저와 젓가락 사용이 서툴다고 먹여주는 버릇에 익숙해진 아이는 1학년이 되어서도 제대로 사용할 줄 모른다.

 그런데 아이들은 놀랍도록 현명하게 짝을 바꾸는 방법을 즐겁고 재미있게 결정하는 것을 보았다. 더욱 놀라운 것은 자신들이 결정한 일이기 때문에 단 한 사람도 불평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번에는 제비뽑기로 짝을 정하자는 의견이 채택되었고 그 방법을 말한 아이가 직접 만들어서 짝을 정했다.  만약 담임인 내가 짝을 지정해 주었다면 누군가는 반드시 불평하는 아이가 생기고 토라지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소인수 학급이지만 한 달에 두 번씩 아이들이 정한 방법대로 짝을 바꿔 주고 있다. 심지어 우유 배달 봉사활동도 자기들 끼리 정한 방법을 활용한다.

 이러한 자치 활동 훈련은 전교생 다모임 활동에서도 빛나고 있다. 비록 1학년이지만 당당하게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려고 마이크를 잡고 의견을 내놓는 모습은 기특하기까지 하다. 자신들은 어리니까 형들이 하는 대로 따라만 가는 구경꾼이 아니라 다모임의 일원으로서 제 몫을 하려고 귀를 쫑긋 세우고 듣는다. 때로는 앞뒤가 맞지 않는 엉뚱한 발언으로 좌중을 웃기지만 그 모습마저도 사랑스럽다.

 ◇ 초등학교 자치 활동은 생활 속 민주주의를 익히는 훈련장

 더 나아가 놀라운 것은 다모임 활동에서 결정된 사항을 지키려고 노력하는 모습이다. 운동장에 나가 놀다가도 쓰레기가 있으면 들고 들어오는 일이 잦아진 것이다. 다모임에서 학교 주변을 깨끗이 하자는 생활 계획을 잘 듣고 실천하고자 하는 주인의식이 생겼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모습을 다른 아이는 칭찬주회 때 발표해 주어 친구를 기쁘게 하는 선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것이 바로 교육의 모습이다. 교육이란 모르는 것을 알게 함을 넘어서 바르다고 생각되는 행동을 실천에 옮기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제는 전교생 다모임 활동을 위한 사전 모임이 예고되면 서로 좋은 의견을 내고 자기의 의견이 채택되기를 바라며 즐겁게 참여하는 모습이 참 예쁘다. 학교의 주인이 자기 자신이라는 주인의식은 활동의 장을 학생들에게 내어 주어서 '자기 결정력'을 갖게 하는 일부터 시작하는 일은 생활 속의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첫 걸음이다. 조금 느리고 서툴더라도 자신들이 인생의 주인이 되어 결정하고 실천하면서 느끼는 성취동기는 살아가는 용기를 심어준다. 

 이처럼 학생들이 교실과 전교생 다모임 활동 속에서 자신의 의견을 내고 질문하고 토론, 토의하는 훈련은 공부의 시작점이자, 생활 속의 민주주의, 풀뿌리 민주주의를 배우는 매우 소중한 기회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생각과 의견이 존중되는 경험은 자존감을 높여 주어서 다른 학습으로 전이되기도 한다. 경청하는 훈련을 통해서는 생각의 지평이 넓어지기도 한다. 내 생각을 똑똑하게 발표하려면 준비를 잘 해야 된다는 것을 알았다는 아이들.  잘 들어야 좋은 질문과 답변을 할 수 있다는 것도 배우는 다모임 시간은 1학년도 즐거워하는 시간이 되었다.

 작은 일을 바르게, 성실히 수행하는 일이 큰일을 이루는 초석이다. 지금 이 나라에 불어 닥친 광풍은 생활 속 민주주의를 행동으로 실천하는 노력이 쌓여서 정치의 판도까지 바꾸는 회오리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지금 전국의 학교 곳곳에서 불고 있는 새로운 교육 운동이나 사회적으로 불고 있는 행복한 공동체 만들기 운동은 우리 국민의 의식 수준이 얼마나 희망적인지 보여주는 증거다. 우리는 지금 자치 활동을 꽃 피워 소통하고 배려하는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중이다. 이 아이들이 자라서 만들어 낼 이 나라의 모습에 기대가 크다.

〈장옥순 담양금성초 교사/교직원 명예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