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흙수저' 인식 급증…"개천에서 용 못난다" 절반 넘어
상태바
'나는 흙수저' 인식 급증…"개천에서 용 못난다" 절반 넘어
  • 연합뉴스
  • 승인 2016.12.12 16: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인범죄자 증가 폭, 노인인구 증가의 3배 이상

지난 20년간 자신을 '최하층'이라고 인식하는 가구가 많아지면서 계층이동에 대한 기대감도 점차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 사회에서 고령화가 꾸준히 진행돼온 가운데 노인 인구의 증가 속도보다 노인범죄가 더 빨리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 계층이동 비관적 전망 크게 늘어…"재생산 위협" 경고

12일 통계청이 펴낸 '한국의 사회동향 2016'에 따르면 소득·직업·교육·재산 등을 고려한 사회경제적 지위가 어디에 속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1994년엔 약 12%만이 6개 범주 중 최하층을 꼽았지만, 2015년에는 이 비중이 약 20%로 증가했다.

반면 중간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60%대에서 53%로 낮아졌다.

세대 내 계층적 상향 이동 가능성에 대해서는 비관론이 점차 득세하는 모습이다.

1994년에는 일생동안 노력을 통해 개인의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60.1%에 달했지만 작년에는 21.8%로 떨어졌다.

이에 비해 부정적 응답은 5.3%에 불과했던 것이 20년새 62.2%로 수직상승했다.

특히 2015년 현재 30∼40대 10명 중 7명 가량이 비관적 인식을 나타냈다.

자녀세대의 계층적 상향이동 가능성에 대해서도 10명 중 3명만이 낙관적이었고 2명은 유보적, 5명은 비관적이었다.

결혼·출산 결정 연령대인 30대에서 비관적 인식이 2006년 약 30%에서 지난해 약 2배인 60% 가량으로 증가했다.

또 가구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세대내·세대간 상향 이동 가능성을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김희삼 광주과학기술원 교수는 "빈부격차가 있더라도 계층이동 가능성이 있다면 불평등은 노력의 동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난 20년간, 특히 최근에 더욱 심화한 계층적 상향이동에 대한 비관론은 '격차사회'를 넘어 '격차고정'이 현실화될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면서 "사회이동성 저하가 재생산을 위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노인범죄자 20년새 6배로 급등

한국의 총인구가 1994년에서 2013년 사이 10% 증가하는 사이 61세 이상 노인인구는 2.2배로 늘었다.

인구 10만명당 노인 수는 8천120명에서 1만5천997명으로 두배가 됐다.

한편 인구 10만명당 61세 이상 형법 범죄자 수는 25.6명에서 약 5.9배인 151.5명으로 급증했다.

노인 범죄자 증가 폭이 노인 인구 증가 폭의 약 3배에 달하는 셈이다.

노인범죄는 전반적으로 재산·폭력·흉악범죄 순으로 많았다.

2013년 인구 10만명당 노인 재산범죄자는 67.4명, 폭력범죄 44.7명, 흉악범죄 3.4명이었다.

이중 흉악범죄자는 1994년 0.3명에 비교하면 11.3배로 늘어난 것이다.

노인이 과거보다 살인·강도·성폭력 등 흉악범죄를 더 저지르게 된데 대해 민수홍 경기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노인들의 육체적 건강상태가 과거보다 향상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61세 이상 형법범죄피해자의 규모는 지난 20년간 1만여명에서 8.8배인 약 9만명으로 증가했다.

민 교수는 "저출산 고령화의 영향이 범죄 발생에서도 나타나고 있지만, 노인 범죄에 대한 대책은 미비한 수준"이라면서 "범죄와 피해 예방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