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서 완벽한 형태의 '진흙 청자 가마' 발견
상태바
해남서 완벽한 형태의 '진흙 청자 가마' 발견
  • 김민선 기자
  • 승인 2017.10.01 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원면 청자요지 발굴조사, 비색청자 비밀 밝히는데 중요 단서

전국에서 가장 많은 초기청자 가마터가 분포하고 있는 해남군 화원면 신덕리 청자요지 발굴조사에서 완벽한 상태의 초기 진흙 가마가 발견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화원면 청자요지에 대한 발굴조사에서 길이 10m, 너비 1.3~1.6m 가량의 진흙으로 만든 반지하식 단실 오름 가마가 온전한 형태로 발견됐다.

▲ 화원 신덕리 초기청자 가마터 전경

가마는 육덕산 남사면 말단부의 해발 48m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비교적 작은 규모로 자연경사면을 판 다음 진흙으로 가마형태를 만들었다.

진흙 가마는 전라도를 중심으로 남서부에 분포하고 있으며, 당시 중국의 직접적인 기술을 받아들여 만든 중서부 지역 길이 40m의 벽돌 가마와 대비되는 구조이다.

진흙 가마는 벽돌 가마와 달리 전통의 도기 가마를 계승해 만든 가마로 연소실에 불턱이 없는 것도 특징이다.

고려 중기가 되면서 중국식의 벽돌 가마는 없어지고 전통의 진흙 가마를 중심으로 전성기 비색 청자를 만들고 있어 신덕리에서 확인된 진흙 가마의 구조는 비색청자의 비밀을 푸는데도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가마 하단부에는 실패한 청자와 흑자 파편, 자기를 구우면서 사용한 갑발과 도지미 등 요도구, 가마의 축조와 보수 등에 사용된 폐기물이 쌓여 있다.

청자를 중심으로 흑자와 도기가 함께 확인되고 있으며, 청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우수한 형태의 완을 비롯해 발과 접시, 병, 호, 등 일상 생활용기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특히 저장 또는 운반 용기로 만든 흑자와 도기는 중서부지역의 벽돌 가마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남서부지역의 진흙 가마에서만 파악되는 것으로 화원 청자요지가 영암 구림리 등의 전통 도기 가마의 제작 기술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 화원 신덕리 초기청자 가마터에서 출토된 자기

전라남도 기념물 제220호 해남 화원면 청자요지는 신덕리와 금평리 일대 80~90여기 가마가 분포한 대규모 가마터로, 초기 청자 가마가 집단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국내 유일한 유적이다.

고려시대 초반 국내 자기 발생의 단서와 초기 청자의 기형 변화 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유적으로 주목받아 왔으나 그동안 지표조사만 실시돼 성격 규명에 어려움이 많았다.

해남군은 지난달부터 문화재청의 승인과 전남도의 지원을 받아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해남군 관계자는 "신덕리 가마터는 진흙으로 만든 소규모 가마로 연소실에 불턱이 없고, 흑자와 도기를 함께 번조하고 있는 초기 남서부지역 청자 가마를 대표하는 유적으로 많은 학술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번 발굴을 통해 유적의 규모와 성격을 밝히고 향후 체계적인 정비와 복원을 할 수 있는 학술적 자료의 토대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