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암매장지 발굴 초읽기…"군 작성 약도·제보자 위치 일치"
상태바
5·18 암매장지 발굴 초읽기…"군 작성 약도·제보자 위치 일치"
  • 연합뉴스
  • 승인 2017.10.19 08: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옛 광주교도소 현장조사 하루 일찍 종료…지형·지물 달라졌으나 장소 구체적

5·18 민주화운동 행방불명자들이 암매장당한 장소로 지목된 옛 광주교도소 일원 발굴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19일 5·18기념재단은 옛 교도소 발굴 준비 현장조사를 예정보다 하루 일찍 종료했다.

▲ 5·18 암매장 추정지로 지목된 옛 광주교도소 외곽 지역[연합뉴스 자료사진]

전날 시작한 현장조사는 이틀 일정이었지만, 암매장 제보자가 가리킨 장소와 5·18 당시 계엄군으로 투입된 3공수여단 부대원이 작성한 약도에 표시된 구역이 일치해 발굴 범위를 예상보다 빨리 특정했다.

재단이 현장조사를 통해 지목한 암매장 추정지는 옛 교도소 외곽으로 1980년 당시에는 재소자들이 농장으로 일궜던 땅이다.

제보자는 이곳에서 암매장 작업을 목격했다고 재단 측에 증언했다.

다만, 증언과 달리 바닥 일부가 아스팔트로 시공됐고, 교도관 숙소와 테니스장 등이 들어서는 등 1980년 5월 당시와 지형·지물이 달라졌다.

5·18재단은 1980년 이후 농장 변화상을 설명해줄 교도관이나 재소자 등 옛 교도소 관계자를 수소문해 이틀째 현장조사를 이어갈 예정이었으나 법무부 기록을 확보해 분석하는 방법으로 대체했다.

재단은 현장조사에 참여한 조현종 전 국립광주박물관장과 구체적인 발굴 계획을 마련해 오는 23일께 언론에 발표할 방침이다.

옛 교도소 시설물과 토지를 소유한 법무부가 적극적인 협력을 약속해 발굴 작업은 이달 안에 착수할 예정이다.

발굴 대상 지역은 교도소 담장 밖 외곽이나 민간인 출입을 막는 울타리 안쪽 보안구역에 속해 2015년 광주교도소 이전 후 용도를 잃고 방치된 상태다.

광주 북구에 자리한 옛 교도소는 5·18 당시 전남대에서 퇴각한 3공수여단 소속 계엄군 병력이 주둔했던 장소다.

당시 보안대 자료에 따르면 옛 교도소에서 억류당한 시민 28명이 숨졌는데 항쟁 후 임시매장된 형태로 발굴된 시신은 11구에 불과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