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댓글 대책 '공정한 여론 생태계' 최우선 고려해야
상태바
포털 댓글 대책 '공정한 여론 생태계' 최우선 고려해야
  • 연합뉴스
  • 승인 2018.04.25 23: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드루킹 사건'을 통해 불거진 포털사이트 기사 댓글 조작 논란과 관련해 거센 비판에 직면한 네이버가 25일 강화한 댓글 정책을 발표했다. 사용자 계정 하나당 댓글 추천 및 작성의 횟수와 시간 간격에 한도를 신설하거나 조정한 것이 주요 골자다. 댓글에 '공감·비공감'을 누를 수 있는 횟수는 계정당 50개로 제한했다. 지금까지 이 부문과 관련한 횟수 제한은 없었다. 한 계정으로 연속해 댓글을 달 때 적용하는 시간 간격은 현행 10초에서 60초로 늘렸고, 이전에 제한이 없던 공감·비공감 클릭에도 10초 간격을 도입했다. 계정 하나로 같은 기사에 달 수 있는 댓글 수는 최대 3개로 제한했다. 네이버의 새 댓글 정책은 이날부터 곧바로 적용에 들어갔다.

네이버의 새 정책은 댓글을 과다하게 다는 이른바 '헤비 댓글러'의 활동을 제한하고, 드루킹 사건에서처럼 '매크로'(동일작업 반복 프로그램)를 이용한 댓글 반응 조작을 방지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 같다. 그간 포털 기사를 둘러싸고 1% 미만의 극소수 사용자가 댓글 대부분을 달거나 프로그램을 통해 댓글 반응을 왜곡함으로써 이들의 의견이 전체 여론인 양 오도된다는 의혹이 심심찮게 제기됐다. 그러다 드루킹 사건 경찰 조사에서 의혹 일부가 사실로 드러나 큰 파문이 일고 있다. 국내 최대 포털인 네이버가 여론 조작을 사실상 방조했다는 비난도 거세다. 이런 와중에 네이버가 급히 내놓은 대책은 댓글 조작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에는 크게 미흡해 보인다. 일례로 드루킹 일당처럼 타인의 계정을 대량으로 사들여 댓글을 조작하면 여전히 속수무책이다.

네이버는 2004년 4월 기사에 댓글을 도입한 이후 지금까지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며 서비스를 개편해왔다. 노출 기사에 대해 독자들이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고 토론도 벌이는 순기능이 있었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근거 없는 인신공격·욕설·허위사실 유포 등 역기능도 커졌다. 상황이 이런데도 네이버는 폐단 해결보다는 더 많은 독자를 모아 '댓글 장사'를 하는 데만 급급했다. 급기야 최근에는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 등 야 3당이 포털의 뉴스 서비스 방식을 현행 '인링크'에서 '아웃링크'로 전환해 포털의 댓글 기능을 아예 없애는 쪽으로 입법 추진에 나섰다. 현재 국내 포털은 언론사로부터 받아 편집한 기사를 자사 웹사이트 내에서 보여주는 인링크를 채택하고 있다. 독자를 자사 플랫폼에 최대한 가둬 놓고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반면 구글 등 외국 포털은 독자가 기사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 웹사이트로 이동해 내용을 보여주는 아웃링크를 시행하고 있다.

이번 발표에서 네이버는 정치권과 언론계 일부에서 강력히 주장하는 아웃링크 도입 문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포털의 인링크 서비스는 나름의 장단점이 있다. 독자들이 여러 언론사의 다양한 기사를 한곳에서 볼 수 있다는 점은 장점이다. 반면 포털이 언론사 뉴스를 받아 마음대로 편집하고 댓글 장사까지 벌임에 따라 여론이 왜곡되는 것은 큰 폐해다. 그렇다고 일각의 주장대로 아웃링크를 도입해 댓글을 없앤다고 포털의 문제점이 다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포털을 둘러싼 이해 당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문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공정한 여론 조성과 언론 생태계에 가장 유익한 쪽으로 현명한 해법을 도출할 것을 권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