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 20% 가구 절반 이상이 '적자'…비율 7년 만에 최고
상태바
저소득 20% 가구 절반 이상이 '적자'…비율 7년 만에 최고
  • 연합뉴스
  • 승인 2020.11.22 12: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적자가구 비율 40%대서 머물다 50%대로…고소득층의 7배
텅 빈 명동거리 8월 23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거리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텅 빈 명동거리
8월 23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거리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의 절반이 넘는 가구가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와 긴 장마·집중호우로 일자리가 줄어든 데다 내수 위축으로 대면 서비스 업종에 종사하는 영세 자영업자의 매출마저 위축된 결과다.

22일 통계청의 가계동향 조사 결과를 보면 3분기 중 2인 이상 전국가구 중 1분위의 적자가구 비율은 50.9%를 기록했다.

소득 하위 20% 가구의 절반 이상이 매월 적자를 내고 있다는 것이다.

적자가구는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보다 소비지출이 큰 가구다. 한마디로 번 돈 이상을 쓴 사람들을 의미한다.

소득·지출 내역을 들여다보면 이들 가구의 적자가 단순히 소비 행태의 문제가 아님을 짐작할 수 있다. 버는 돈이 적어 필수 지출만 해도 원래 적자를 보는 구조인 가운데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이런 상황이 더욱 나빠진 것이다.

(통계청 제공)
(통계청 제공)

3분기 중 1분위 가구가 벌어들인 소득은 매월 163만7천원으로 1년 전보다 1.1% 줄었다.

근로소득이 55만3천원으로 1년 전 대비 10.7% 급감한 가운데 사업소득도 27만6천원으로 8.1% 감소했다.

8월 중순 이후 코로나19 2차 확산으로 내수 소비가 위축된 데다 긴 장마와 집중호우로 일거리마저 줄어 소득의 65%를 차지하는 근로소득과 19%를 차지하는 사업소득이 각각 10% 안팎 줄어버린 것이다.

정부의 공적 지원금이 월 59만5천원 투입됐으나 시장소득 감소 폭이 워낙 크다 보니 소득 감소의 흐름을 돌려놓진 못했다.

이들 가구는 지출을 1년 전보다 3.6%나 줄였으나 적자를 면치 못했다. 지출 규모가 매월 188만1천원으로 소득 규모(163만7천원)를 크게 넘어섰기 때문이다.

(통계청 제공)
(통계청 제공)

3분기 중 1분위 가구의 평균 적자는 매월 24만4천원이었다. 분기 기준으로 하면 73만2천원의 적자가 쌓인 것이다.

1분위의 적자가구 비율이 50%를 넘어선 것은 3분기 기준으로 2013년 이후 7년 만에 나타난 현상이다. 2014년 이후 지난해까지(2017~2018년은 연간 단위로만 조사) 43%에서 49%대 사이를 오르내리다 올해 50%를 넘어섰다.

5분위(소득 상위 20%가구)의 적자가구 비율이 7.0%임을 감안하면 1분위가 7배 이상 높다.

적자가구 비율은 소득분위가 올라갈수록 줄어드는 구조다. 3분기 기준으로 2분위가 23.9%, 3분위는 14.8%, 4분위는 10.6%다. 가구 전체로 보면 21.4%가 적자가구다.

정부는 임시·일용직 근로자와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의 시장소득 감소가 커 정부 지원만으로는 소득·분배 여건을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4차 추가경정예산 사업 중 고소득 수혜 계층이 많은 아동특별돌봄지원금이 가장 먼저 지급돼 3분기 통계에 반영된 점도 분배 지표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