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라면값 12년8개월래 최대폭 상승…먹거리 가격 고공행진
상태바
지난달 라면값 12년8개월래 최대폭 상승…먹거리 가격 고공행진
  • 연합뉴스
  • 승인 2021.11.07 08: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수 19.4%↑·식용유 12.3%↑·빵 6.0%↑…외식 가격, 3년만에 최대폭 상승
국제곡물가 상승세 지속…가공식품 가격 더 오를 수도
가공식품 줄줄이 인상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가공식품 판매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가공식품 줄줄이 인상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가공식품 판매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한국인의 소울 푸드인 라면 가격이 약 1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원재료 가격 급등으로 빵, 식용유, 소금 등 기타 가공식품 가격도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10월 가공식품 소비자물가지수는 109.89(2015년=100)로 1년 전보다 3.1% 올랐다.

지난달 상승 폭은 2014년 11월(3.3%) 이후 6년 11개월 만에 가장 컸다.

품목별로 보면 라면 가격이 1년 새 11.0% 올라 2009년 2월(14.3%) 이후 12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오뚜기[007310]와 농심[004370], 삼양식품[003230], 팔도 등 대표적인 라면 업체들이 밀가루, 팜유 등 원재료비 상승을 이유로 8월부터 줄줄이 라면 출고가를 인상한 영향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업체들이 올해 8월, 9월에 출고가를 올린 것이 10월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에 반영됐다"며 "원재료 가격 상승은 곧바로 반영되기보다 다소 시차를 두고 점진적으로 반영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역시 밀가루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국수가 19.4% 올랐고, 비스킷(6.5%)과 파스타면(6.4%), 빵(6.0%), 스낵 과자(1.9%) 가격도 함께 상승했다.

국제 곡물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감에 따라 향후 가공식품 가격이 더 올라갈 가능성도 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곡물·유지류·육류 등 주요 식량 품목의 국제 가격을 지수화한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지난 10월 기준으로 전월보다 3.0% 상승한 133.2포인트(2014∼2016년 평균=100)로 집계됐다.

특히 곡물가격지수는 캐나다·러시아·미국 등 주요 밀 수출국의 수확량이 감소하면서 전월보다 3.2% 상승한 137.1포인트까지 올랐다.

[그래픽] 생활물가 상승률 추이2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0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6% 상승했다.
[그래픽] 생활물가 상승률 추이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0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6% 상승했다.

소금 가격은 1년 전보다 23.9% 올라 지난달 가공식품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김장철을 맞아 절임 배추용 소금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최근 소금 가격은 올해 8월(14.6%), 9월(18.0%), 10월(23.9%) 석 달 연속으로 두 자릿수 상승률을 나타내며 오름폭을 키우고 있다.

이외 막걸리가 17.5% 상승했고 드레싱(14.3%)과 식용유(12.3%)도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

고추장(8.3%), 물엿(8.0%), 식초(6.2%), 설탕(6.0%), 참기름(4.8%) 등 조미료와 우유(4.3%), 주스(3.9%) 등 음료 가격도 함께 올랐다.

장바구니 물가뿐 아니라 외식 물가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외식 물가지수는 115.10(2015년=100)으로 1년 전보다 3.2% 상승해 2018년 11월 이후 2년 11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외식 물가는 지난 5월(2.1%)에 올해 들어 처음으로 2%대 상승률을 기록한 이후 6월 2.3%, 7월 2.5%, 8월 2.8%, 9월 3.1%, 10월 3.2% 등으로 점점 더 오름폭을 키우는 모습이다.

품목별로는 생선회(이하 외식 가격)가 8.8%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죽(7.6%), 막걸리(7.4%), 갈비탕(6.5%) 등이 뒤를 이었다.

김밥 가격은 4.8%, 밖에서 사 먹는 라면 가격도 3.9% 각각 올랐다.

서민 체감 물가와 직결되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달 4.6% 급등했다. 2011년 8월(5.2%) 이후 10년 2개월 만의 최대 상승 폭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