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4시간만 자도 건강 유지하는 '수면 엘리트' 존재한다
상태바
하루 4시간만 자도 건강 유지하는 '수면 엘리트' 존재한다
  • 연합뉴스
  • 승인 2022.03.19 08: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면 효과 높이는 '짧은 잠' 유전자 5개 확인
미국 UCSF 연구진, 저널 '아이사이언스'에 논문
수면 조절에 관여하는 성상교세포뇌에서 흔히 발견되는 성상교세포(astrocytes)는 수면의 양과 질을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사진은 인간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s)에서 유래한 성상교세포.[뉴욕 줄기세포 재단 연구소 제공 / 재판매 및 DB 금지]
수면 조절에 관여하는 성상교세포
뇌에서 흔히 발견되는 성상교세포(astrocytes)는 수면의 양과 질을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인간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s)에서 유래한 성상교세포.[뉴욕 줄기세포 재단 연구소 제공 / 재판매 및 DB 금지]

인간은 하루 8시간 정도 충분히 자야 건강을 해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학자들은 만성적인 수면 부족이 여러 가지 신경 퇴행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런데 수면의 양은 건강을 담보하는 절대적 기준이 될 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수면의 양보다는 수면의 질, 즉 양질의 수면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짧게는 하루 4시간만 자도 피로감을 느끼지 않고 건강도 잘 지키는 '수면 엘리트'(elite sleeper)가 존재한다는 걸 과학자들은 확인했다.

이런 사람들의 효율적인 수면 능력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도 찾아냈다.

이 발견은 장차 수면 장애와 관련 신경 질환 등의 치료법 개발에 도움이 될 거로 기대된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UCSF) 의대의 루이스 프타체크 유전학 신경학 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지난 15일(현지 시각) '셀 프레스'(Cell Press)가 발행하는 오픈 액세스 저널 '아이사이언스'(iScience)에 논문으로 실렸다.

수면 장애[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수면 장애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논문의 공동 수석저자인 프타체크 교수는 "누구나 하루 8시간은 자야 한다는 도그마가 있는데 유전학적으로 보면 사람마다 필요한 수면의 양이 다르다는 게 확인됐다"라면서 "사람마다 키가 다르지만, 어느 정도의 신장이 완벽하다고 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그는 UCSF의 웨일 신경과학 연구소에서 '가족성 선천성 단기 수면'(FNSS)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10년 넘게 연구했다.

FNSS는 수면 패턴의 유전적 변이로 수면·각성(sleep-wake) 시간과 수면의 양이 보통 사람과 다른 유전 형질을 말한다.

이런 사람은 하룻밤에 4시간 내지 6시간만 자고도 낮에 정상적인 활동을 한다.

연구팀은 FNSS 가족의 유전체를 샅샅이 검사해 찾아낸 5개의 관련 유전자를 이번에 공개했다.

이들 유전자는 짧은 시간을 자고도 주간 활동에 지장을 받지 않는 능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연구는 같은 연구소의 동료 과학자로서 논문의 공동 수석저자를 맡은 푸잉후이 박사의 가설을 검증한 것이다.

뇌 신경학자들은 수면 부족이 많은 사람에게 신경 퇴행을 촉진할 거로 믿는다.

그런데 푸 박사는 FNSS 유전자를 가진 사람의 경우 효율적인 수면 능력 덕에 신경 퇴행 질환을 피할 거라는 가설을 내놨다.

FNAA 특성이 있으면 뇌가 더 짧은 시간에 수면의 임무를 완수할 거라는 게 핵심이다.

다시 말해 보통 사람보다 짧은 시간 자도 수면의 효율성이 높기 때문에 수면 부족을 겪지 않는다는 뜻이다.

잠이 부족하면 불안 수위도 높아진다.[UC버클리 매튜 워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잠이 부족하면 불안 수위도 높아진다.
[UC버클리 매튜 워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생쥐 모델 실험에서 FNSS 유전자의 연관성을 확인했다.

알츠하이머병 유전자를 가진 생쥐에게 FNSS 유전자가 생기자 조작하자 뇌에 아밀로이드 베타 같은 치매 특징 단백질이 훨씬 덜 생겼다.

'짧은 수면'(short-sleep) 유전자와 알츠하이머병 유전자를 다른 걸로 바꿔 실험해도 똑같은 결과가 나왔다.

프타체크 교수와 푸 박사는 이 유전자가 다른 뇌 신경질환을 예방하는 데도 어떤 역할을 할 거로 보고 있다.

수면 장애는 거의 모든 뇌 질환 환자에게 공통으로 나타난다.

대만 출신인 푸 박사는 "인간이 잠들었다가 깨는 데는 여러 뇌 영역의 원활한 공조가 필요하다"라면서 "이런 뇌 영역이 손상되면 아예 잠을 못 자거나 잠들더라도 숙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가 치료제로 개발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할 것 같다.

프타체크 교수는 "지금까지 우리가 발견한 유전자는 그림 맞추기 퍼즐의 조각 몇 개에 불과하다"면서 "지금은 가장자리와 구석에서 조각이 들어갈 위치를 찾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렇다고 고무적인 진전이 전혀 없는 건 아니다.

연구팀이 발견된 5개의 FNSS 유전자 중 하나는, 용도 재지정을 거쳐 작용 표적으로 쓸 만한 약이 이미 개발돼 있다고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