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시론] 대통령실 용산 이전, 예산·안보 꼼꼼히 살펴야
상태바
[연합시론] 대통령실 용산 이전, 예산·안보 꼼꼼히 살펴야
  • 연합뉴스
  • 승인 2022.03.20 17: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통령실 용산 이전] 국방부 정문은...20일 국방부 정문 모습.이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청와대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로 이전한다고 발표했다. 국방부는 합참청사로 옮긴다. 2022.3.20 (사진=연합뉴스)
[대통령실 용산 이전] 국방부 정문은...
20일 국방부 정문 모습.
이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청와대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로 이전한다고 발표했다. 국방부는 합참청사로 옮긴다. 2022.3.20 (사진=연합뉴스)

대통령 집무실이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 자리로 이전한다. 청와대는 새 대통령 취임일에 맞춰 국민에게 전면 개방된다. 윤석열 당선인은 20일 오전 인수위원회 출범 뒤 첫 기자회견을 열고 광화문 외교부 청사 대신 용산 국방부 청사를 대통령 집무실로 정했다고 발표했다. 윤 당선인은 비서실 이전 등의 준비를 거쳐 용산에서 대통령 업무를 시작한다. 현 청와대 본관과 영빈관, 녹지원 등 정원은 국민에게 돌아간다. 경복궁에서 청와대를 거쳐 북악산에 오르는 등산로도 열린다. 윤 당선인은 "국민들께 불편을 드리는 측면, 청와대를 온전히 국민께 개방하여 돌려드리는 측면을 고려하면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결정을 신속히 내리고 추진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또 "어려운 일이지만, 국가의 미래를 위해 내린 결단이다. 단순한 공간의 이동이 아니라 제대로 일하기 위한 각오와 국민과의 약속을 실천하고자 하는 저의 의지를 헤아려 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국민의 양해를 구했다. 윤 당선인은 전날 오전 새 집무실 후보지인 용산 국방부 청사와 광화문 외교부 청사를 직접 둘러본 뒤 최종 결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선 이후 10여 일간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를 놓고 찬반양론이 팽팽했다. 당선인이나 인수위는 '제왕적 권력'의 상징인 청와대에 들어가지 않겠다는 입장이 확고했다. 국민과 동떨어진 곳이 아니라 소통할 수 있는 위치에 대통령 집무실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취지로 광화문 외교부 청사가 우선 검토됐으나 외교 부처가 옮겨갈 곳이 마땅치 않고 인근에 민간 빌딩 등이 많아 경호 및 보안 문제도 대두됐다. 숙고 끝에 보안 시설이 잘 구비돼 있고, 유사시 신속 대응이 가능하고, 경호에 따른 시민 불편도 크지 않은 국방부 청사로 최종 결정했다는 것이다. 이전에 반대하는 측에서는 코로나19 방역 및 대응,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도발 대책 등 안보 및 민생 현안이 시급한데 과연 큰돈을 들여서 집무실 이전을 서두를 일이냐는 의문을 제기해왔다. 풍수지리, 무속 등을 쫓아 집무실을 옮기는 것이 아니냐는 억측도 난무했다. 윤 당선인은 "취임까지 50일 남은 시점에서 너무 서두르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잘 알고 있다"면서 "일단 청와대 경내로 들어가면 제왕적 권력의 상징인 청와대를 벗어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윤 당선인은 "단순히 일하는 공간의 이동이 아니라 제대로 일하기 위한 각오를 헤아려 달라"고 덧붙였다.

기자회견에서는 '제왕적 권력'의 상징인 청와대라는 공간을 벗어나 국민과 소통하겠다는 윤 당선인의 강한 의지를 읽을 수 있다. 그는 공간이 의식을 지배한다는 말까지 했다. 대통령 집무실과 동떨어져 있던 기자실을 집무실 1층에 두겠다는 구상도 언론을 통해 국민과 긴밀히 소통하겠다는 취지다. 언론을 자주 만나고 국민에게 다가서는 대통령의 모습에 기대감을 갖게 한다. 그렇지만 용산 이전을 결정하기 전에 취지를 설명하고 의견을 듣고 설득하는 과정이 충분했는지 묻고 싶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은 당선인뿐만 아니라 그다음 대통령에게까지 영향을 미치는 일이다. 차차기 대통령이 용산이 싫다고 하면 다시 옮길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더불어민주당은 논평에서 "무엇이 그리 급한지 납득할 수 없다. 절차도 일방통행이다. 제왕적 권력을 내려놓겠다는데 이것이야말로 제왕적 행태"라고 지적했다. 이전 비용도 투명하게 따져 봐야 한다. 윤 당선인은 "1조 원, 5천억 원은 근거가 없다"면서 이전 비용을 496억 원으로 추산했다. 군 장성 출신인 김병주 민주당 의원실은 1조 원 이상으로, 국방부는 5천억 원 이상으로 각각 비용을 잡았다. 최소 10배에서 20배 차이가 난다. 인수위 측은 정확한 비용을 추산해 국민에게 공개해 의구심을 풀어주기 바란다. 마지막으로 국방부 재배치 등의 과정에서 단 1초라도 안보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반의 대비태세를 군에 당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