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인권의 가치' 5·18기록관 개관
상태바
'민주주의·인권의 가치' 5·18기록관 개관
  • 강금단 기자
  • 승인 2015.05.14 10: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18 민주화운동기록관 개관 첫날…시민들 탄식·분노속 기록물 관람

▲ 12일 오전 광주 동구 금남로 옛 가톨릭센터 건물에 자리 잡은 5·18 민주화운동기록관이 오는 13일 개관을 앞두고 모습을 드러냈다. 사진은 기록관 상설전시관에 전시된 시민들의 기록물의 모습. 2015.5.12
"산 증인인 우리가 죽더라도 기록관을 통해 진실이 보존돼 다행이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5·18 기록물 보존을 위한 5·18 민주화운동 기록관이 13일 문을 열었다.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항쟁과 이후 진상규명 활동이 담긴 사진, 재판 기록, 희생자 유품 등이 전시된 전시실과 시민 참여공간도 이날 최초로 일반에 공개됐다.
 

▲ 5·18 민주화운동기록관 개관식이 열린 13일 오후 광주 동구 옛 가톨릭센터에 자리잡은 기록관에서 열린 개관식에 참석한 윤장현 광주시장이 축사하고 있다. 2015.5.13
5·18 당시 부녀자들이 시민군에게 주먹밥을 만들어 나눠줬던 양은 함지박을 지나 계엄군의 진압작전 직전인 5월 26일 밤 전남도청 앞 도로를 재현한 공간을 넘어가자 무장한 계엄군들 앞으로 시위하는 시민들의 모습이 담긴 대형 사진이 나타났다.

관람객들은 트럭 바퀴 자국이 선명한 태극기와 당시 희생자가 입었던 옷가지, 현장 기자의 취재수첩, 시민들의 일기 등을 바라보며 탄식하는 모습들이 역력했다.

특히 1980년 5월의 아픔을 직접 겪었던 사람들은 분노를 감추지 못했다.
 

▲ 5·18 민주화운동기록관 개관식이 열린 13일 오후 광주 동구 옛 가톨릭센터에 자리잡은 기록관의 상설전시관을 참석자들이 둘러보고 있다. 2015.5.13
이제는 60∼80대 노인이 됐지만 그날의 아픔을 차마 잊을 수 없는 사람들은 힘겨운 발걸음으로 전시실 구석 구석을 보며 조용히 오열하기도 했다.

정정순(79·여)씨는 "군인들이 차에 시신을 실은 사진을 보니 그 때처럼 또 열불이 난다. 당시 남동에 살아 내 눈으로 직접 이런 광경을 목격했다"면서 "전두환이 이 사진들과 기록을 봐야 자신이 한 짓을 제대로 알텐데…."라며 가슴을 쳤다.

정씨는 "시민들의 피로 민주화 세상을 뿌리내렸지만 정치인들은 자기들이 잘나서 된 줄 알고 일부에서는 말도 안 되는 왜곡까지 판친다"며 "산증인인 우리가 죽더라도 기록관을 통해 진실이 보존될 것같아 안심이 된다"고 말했다.
 

▲ 5·18 민주화운동기록관 개관식이 열린 13일 오후 광주 동구 옛 가톨릭센터에 자리잡은 기록관의 상설전시관을 참석자들이 둘러보고 있다. 2015.5.13
부모의 손을 잡고 기록관을 찾은 어린 아이들도 민주화운동이나 학살 등이 무엇인지 알지는 못했지만 총을 둔 군인들의 사진과 희생자들의 옷가지 등을 바라보며 "싫다. 이런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무거운 표정을 지었다.

일부 어린이는 무섭다며 엄마 품에 안기는 모습도 보였다.

전북 정읍에서 온 김우석(37)씨는 "7, 5살인 딸들에게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어떤 과정을 거쳐왔는 지 간접적으로나마 알려주고 싶어 방문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씨는 "5월의 기록들을 직접 보니 뭉클하기도 하고 억울하기도 하다"며 "진실이 모두 이기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는 현실이 너무 안타깝다. 5·18이 제대로 규명돼 '진실은 언젠가 밝혀진다. 승리한다'는 말을 자신있게 자녀에게 해줄 수 있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기록관에는 재판, 진료 기록은 물론이고 기자들의 취재수첩, 시민들의 일기 등 당시 참상을 생생하게 담은 기록물 8만여점이 보존돼 있다.

기록관은 시민 대상 전시 뿐 아니라 소장 자료의 전산화, 영문화 작업을 통해 5·18 정신을 세계에 알릴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