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구, 우레탄트랙 중금속 노출 제로에 나선다
상태바
광산구, 우레탄트랙 중금속 노출 제로에 나선다
  • 김창용 기자
  • 승인 2017.01.05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탄성포장재 중금속 오염 지도 전국 최초 작성…허용 기준치 내 검출 지역도 전량 연내 철거
▲ 광산구 탄성포장재 안전신호등 지도

광주 광산구는 전국 최초로 지역의 탄성포장재 안전지도를 작성해 지난 2일 공개했다.

광산구는 “탄성포장재를 바닥에 시공한 모든 시설을 전수 조사해 중금속 위험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공공데이터 플랫폼 GSimap에 표기해 주민과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동시에 광산구는 기준을 초과해 중금속을 함유한 탄성포장재를 전면 철거할 계획이다.

광산구는 기준치 이상의 납이 검출된 학교 우레탄 트랙 사건이 발생한 지난해 7월부터 사안의 심각성을 인식해 지역 전체 시설로 조사를 확대해왔다.

조사 대상은 우레탄, 고무, 우드 등을 주재료로 사용한 모든 탄성포장재였다.

광산구는 공원, 체육시설 등 공공시설과 어린이집, 유치원, 아파트 등 민간시설 등 총 238개소의 탄성포장재 성분을 전문기관에 의뢰해 정밀 검사했다.

지난해 8월 지역 내 모든 시설 1168개소를 현장 방문해 모래나 돌, 흙으로 바닥을 시공한 곳을 제외한 지역을 정밀 검사 대상으로 선정한 것.

검사 항목은 납(Pb), 카드뮴(Cd), 수은(Hg), 6가크롬(Cr6+)이다. 위해성 판단과 철거 여부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엄격한 국가표준(KS) 기준을 중심으로 결정했다.

광산구는 중금속 위해 정도를 ‘위험’, ‘주의’, ‘안전’으로 분류했다.

‘위험’은 국가표준과 환경보전법이 각각 정한 기준치를 모두 초과할 경우, ‘주의’는 국가표준은 넘지만, 환경보전법 기준을 충족했을 때이다. 두 기준 모두를 충족할 때는 ‘안전’으로 분류했다.

조사 결과 위험 14곳(4.58%), 주의 10곳(3.27%), 안전 282곳(92.2%)로 나타났다. 개선이 필요한 위험 지역은 광산구 관리시설(공공)이 12곳, 민간시설이 2곳이었다.

광산구는 ‘위험’과 ‘주의’ 시설(17개) 모두를 교체한다는 입장이다.

이미 지난해 말까지 5곳의 시설을 개선했고, 나머지도 예산 약 5억 원을 확보해 올해 안에 시설 개선을 마칠 계획이다.

민간시설에는 이미 중금속 검출 결과를 통보했고, 최대한 빠른 개선을 권고하고 있다.

광산구는 이 같은 결과를 공공데이터 지도 GSimap에 공개했다.

광산구 공공데이터 플랫폼(imap.gwangsan.go.kr)에서 확인하도록 한 것이다.

위험 시설은 빨간색, 주의 시설은 노란색, 안전 지역은 초록색으로 표기해 직관적으로 시설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전국 최초로 추진한 탄성포장재 안전 지도 작성과 공개는 “안전 문제는 과잉대응이 원칙”이라는 광산구 ‘뚝심행정’이 이끈 성과이다.

학교에만 머물렀던 안전 요구를 지역 전체로 확장해 주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최대한 빠른 개선을 이루겠다는 것이 이번 공개를 단행한 광산구의 의도이다.

민형배 광산구청장은 “안전은 타협해서는 안 되는 가치이다”며 “법과 규정이 현장의 요구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광산구는 선제적으로 대응해 주민의 안전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