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평화·통합의 3·1 정신이라면 새 한반도체제 가능하다
상태바
독립·평화·통합의 3·1 정신이라면 새 한반도체제 가능하다
  • 연합뉴스
  • 승인 2019.03.01 23: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늘은 세계만방에 한민족의 독립을 선언했던 1919년 3·1운동이 일어난 지 100년 된 날이다. 지난 100년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100년의 각오를 다져야 할 때다. 독립, 평화, 민주주의를 주창했던 3·1운동은 민주 독립 국가인 오늘의 대한민국을 태동시켰다. 지난 100년 우리는 식민지배, 전쟁, 분단의 고통을 겪었다. 그러나 경제발전과 민주주의도 이뤘다. 그 결과 인구 5천만 명 이상의 국가 중에서 7번째로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를 달성했다. 암울하고 굴곡진 역사를 뚫고 이룬 장한 결과다. 국제사회에 내놓아도 부끄럽지 않은 업적이다.

그러나 모든 개인이 자유와 평등을 누리고 함께 잘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가야 할 길은 아직 멀다. 대한민국 앞에 놓인 새로운 100년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이제부터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그동안 이룬 절차적 민주주의를 생활에 뿌리내리게 만들어 성숙한 시민사회로 가야 한다. 이미 오래전에 저성장 늪에 빠진 경제 활력을 되찾고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해 번영을 달성해야 한다. 한반도에 평화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 남북, 지역, 이념으로 갈라진 분열과 갈등을 극복하고 통합을 이뤄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1일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3·1절 100주년 기념식에서 지난 100년 대한민국의 성과를 되돌아보고 새로운 100년의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신한반도 체제' 구상을 밝혔다. 한미공조, 북미대화 타결, 국제사회의 지지를 바탕으로 한 항구적인 평화체제다. 한반도 평화경제 시대를 열기 위해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 재개를 미국과 협의하고, 남북이 경제공동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이 주도하는 신한반도체제가 남과 북을 넘어 동북아, 아세안, 유라시아의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이 되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한반도 평화경제는 북한 비핵화와 대북 제재 완화 및 해제 없이는 불가능하다. 그런 점에서 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된 것은 큰 아쉬움이다. 쉽지 않겠지만 북미가 추가 협상 여지를 열어둔 만큼 비핵화 협상의 미래를 너무 비관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 한반도 평화의 길이 멀고 험한 것이 드러난 만큼 한국 정부의 중재 역할은 더 중요해졌다. 문 대통령과 우리 정부는 북미의 입장차를 좁히고 남북경협이 한반도 평화경제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독립, 민족, 평화, 민주, 통합의 3·1 정신을 되살린다면 비핵화와 평화경제를 핵심으로 하는 신한반도체제는 불가능하지 않다. 우리 역사를 돌아보면 한민족은 독립심과 자긍심이 유달리 강했고, 이는 번영과 민주주의에 대한 강렬한 욕구로 나타났다. 국민은 사회 불의를 좌시하지 않았고 주권자임을 보여줬다. 다만 분열을 잘 극복하지 못하는 것이 약점으로 지적되곤 한다. 통합은 항상 우리에게 만만치 않은 도전이었다.

통합은 온 국민이 노력해야 하지만 일차적으로 정치권 책임이 큰 문제다. 남북, 지역, 이념의 분열과 갈등을 조장해 지지층을 결집하려는 정치권 구태는 새로운 100년의 문턱에서 더는 계속돼선 안 된다. 갈등 극복의 노력은 한일 관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돼야 한다. 두 나라 정치권은 국민 지지를 얻기 위해 양국 갈등을 종종 이용한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다. 식민지배로 인한 피해자 고통을 치유하면서 한반도 평화를 위해 일본과 협력하겠다고 밝힌 문 대통령의 방침은 옳은 방향이다.

3·1운동은 4·19혁명, 5·18민주화운동, 6·10항쟁, 촛불혁명 등 한국 민주주의 운동의 뿌리다. 한국 근대사의 자랑스러운 유산이다. 3·1정신으로 노력하고 자신감을 갖는다면 한반도에 민주, 번영, 평화의 새로운 역사를 열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