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세 꺾는데 실내 습도 관리도 중요"
상태바
"코로나19 확산세 꺾는데 실내 습도 관리도 중요"
  • 연합뉴스
  • 승인 2020.04.01 08: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 예일대 연구진, 저널 '연례 바이러스학 리뷰'에 논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노란색)가 세포 표면(청색·분홍색)에 몰려있다. 미국 확진자의 검체를 실험실에서 배양해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것이다.[미 NIH 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노란색)가 세포 표면(청색·분홍색)에 몰려있다. 미국 확진자의 검체를 실험실에서 배양해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것이다.
[미 NIH 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 제공]

동절기의 차갑고 건조한 공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을 부추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서 봄과 여름으로 계절이 바뀌어 습도가 높아졌을 때 코로나19 팬더믹(세계적 대유행)의 기세가 어떻게 달라질지에 많은 관심이 쏠려 있다.

물론 습도가 높아져도 직접적인 바이러스 접촉 또는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체 표면 등을 통해 감염 위험은 상존한다.

다만 에어로졸(공기의 미립자)을 통한 바이러스 전파 위험은 습도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기존의 사회적 거리 두기와 손 씻기 등 개인위생에 더해, 계절적인 상대 습도(relative humidity) 조절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전파 속도를 늦추는 데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미국 예일대 과학자들이 제안했다.

예일대 연구진은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의 전파에 관한 동료 과학자들의 기존 연구 결과를 검토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

예일대는 관련 리뷰 논문을 '동료 심사' 과학 저널인 '연례 바이러스학 리뷰'(Annual Review of Virology)에 최근 발표했다.

31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연구팀이 중점적으로 검토한 건, 건물 안팎 공간의 온도 및 습도와 바이러스 공기 전파 사이의 상관관계다.

옛날부터 호흡기 질환은 겨울에 유행하다가 이듬해 봄과 여름에 수그러드는 계절적 특성을 보였다. 현대 과학은 그 요인으로 겨울철의 차갑고 건조한 공기를 지목했다.

논문의 수석 저자인 예일대의 이와자키 아키코 면역학 석좌교수는 "바이러스 유행의 그런 특성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기록으로 남아 있다"라고 말했다.

겨울철에 건조한 바깥 공기가 실내로 유입해 달궈지면 상대 습도가 20%까지 떨어지고, 이처럼 건조한 실내 공기가 신종 코로나 등 바이러스 입자가 전파되는 통로가 된다고 한다.

따뜻하고 건조한 실내 공기는 또한 바이러스 입자를 밀어내는 기도 상피 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리고, 결국엔 병원체에 반응하는 인체의 면역력도 억제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한다.

연구팀은 호흡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생쥐가 공기를 통해 쉽게 바이러스를 옮기는 실험 결과를 논문에 인용했다.

상대습도가 40% 내지 60%인 공간에서 지내는 생쥐는, 환경 습도가 40% 아래거나 60% 위인 생쥐보다 바이러스 전파 능력이 약했다.

특히 상대습도가 50%인 생쥐는 기도를 통해 들어오는 바이러스를 차단하면서 동시에 강한 면역 반응을 보였다.

이와자키 교수는 "발전한 지역에 거주하는 우리 삶의 90%는 실내에서 이뤄진다"라면서 "환기가 잘 안 되는 가정 및 건물, 밀접 공간 등에선 높은 습도의 (바이러스 차단) 효과가 감퇴한다"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