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냐, 활용이냐" 총선 앞두고 광주역 개발 방안 재점화
상태바
"폐쇄냐, 활용이냐" 총선 앞두고 광주역 개발 방안 재점화
  • 연합뉴스 기자
  • 승인 2024.01.10 17: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역

22대 총선을 앞두고 광주의 대표적인 낙후 구도심인 광주역과 주변 지역을 어떻게 개발지를 놓고 입후보자들의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지고 있다.

열차역 폐쇄에 대한 찬반 의견이 갈린 탓에 오랫동안 방치해 온 광주의 해묵은 난제여서, 과거처럼 애드벌룬 식 이슈 띄우기에 그치지 말고 이번 총선을 지역민이 함께하는 본격적인 논의와 해결의 출발점으로 삼자는 목소리도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조오섭(광주 북구갑) 국회의원은 10일 광주역사에서 '광주역 개발 3단계 청사진 주민간담회'를 열었다.

조 의원은 KTX·SRT 고속열차 재진입과 광주역∼광주송정역 구간 도심철도 지하화를 통한 지상 개발을 제안했다.

그는 1단계 1조 2천억원 규모 광주역 창업밸리 조성, 2단계 달빛철도 건설, 3단계 고속열차 재진입과 도심철도 지하화를 통한 개발 방안을 밝혔다.

조 의원은 "도심 철도 지하화 총사업비는 1조4천억원 규모로, 올해 정부 본예산에 용역비 20억원이 확정됐다"며 "광주역과 북구∼동구 구도심을 살리려면 지하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 북구갑 출마를 선언한 진선기 전 민주당 당대표 정무특보도 KTX와 SRT 고속철의 광주역 재진입을 촉구했다.

진 전 의원은 "고속철 미진입으로 북구 주민들이 치러야 할 시간 낭비와 경제적 비용, 무등산 국립공원·아시아문화전당 등과의 시너지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주역 플랫폼

민주당 예비후보인 정준호 변호사는 교통 복지 확보 차원에서 역 기능을 회복해야 하지만 1조원대 지하화 방안은 비용 편익성 측면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 변호사는 "장성과 김제를 경유하는 열차 일부를 광주역까지 오도록 방안을 검토해야 하며 고속열차 31편 증편 논의가 있어 현실성도 있다"며 "고속철 재진입이 어렵다면 전기열차인 누리로를 대체 셔틀열차로 운영하는 것도 대안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하화 방안에 대해서는 "그 비용이면 지연된 지하철 2호선 공사 기간 단축과 아직 사업부지도 확보되지 않은 2호선 3단계 구간 조기 착공이 가능하다"고 반대 의사를 나타냈다.

문상필 전 민주당 사회적경제위원회 부위원장은 광주역의 철도 기능을 아예 폐쇄하고 그 부지에 광주의 랜드마크를 건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광주시가 계획 중인 창업 밸리와 연계한 대기업과 스타트업 본사 유치, 특급호텔· 면세점·전망대 등 개발, 북구청 등 공공기관 이전, 광주역 남북 관통로 개설 등을 제시했다.

문 전 의원은 "20여년간 소모적인 논쟁으로 인해 지역민 고통만 가중됐다"며 "광주역 철도 기능은 모두 광주송정역으로 이전되고 철로만 남았는데 KTX 재진입 논란을 점화하는 것은 정치적 꼼수"라고 주장했다.

또 "하루에 고속열차 2∼3대가 들어온다고 광주역이 살아나지 않는다"며 "5·18과 무등산을 담은 랜드마크를 건설하고 행정복합타운·경제복합지구·오피스단지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총선 입후보 정치인들의 잇달은 광주역 개발 방안 제시에 대해서는 지역민들의 냉소와 기대가 겹치고 있어 개발방안을 결정할 근본적인 논의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광주역 인근에서 30년 넘게 거주한 정모(67)씨는 "2016년 KTX 진입이 중단되기 훨씬 전부터 국회의원·북구청장 선거 때마다 정치인들이 재진입을 요구하겠다고 외쳤으나 KTX 재진입 당위성, 실현 가능성이 뒷받침되지 않은 채 선거용으로만 써먹고 외면했다"고 지적했다.

정씨는 "광주역 문제를 총선 이후 또 방치하지 말고 지역 사회와 주민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 어떻게 할지 결정하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